제사와 묘사 |
제사(묘사)의 뜻 | |
부모의 자녀 사랑보다 큰 것이 없고 우리는 선조님의 대대로 이어진 사랑속에 자랐고 앞으로도 자녀들을 통하여 끝없이 전해질 것입니다. 묘사란 4대가 넘으면 묘소에서 제사를 모시기에 묘사라고 합니다. 지금은 제실에서 모시는 경우도 많은데 제실에서 모시는 제사는 청사제라고 합니다 종교등의 이유로 제사를 기피하는 사람도 있으나 어느 종교던 부모는 잘 모시라고 합니다. |
제사의 종류 |
기제사 | 매년 돌아가신 날 모시는 제사로 하루전에(입제일) 음식을 마련하고 |
차례 | 설날과 추석날의 아침에 모시는 제사로 조상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차를 올린다는 뜻을 가졌기에 밥대신 떡국을 올리기도 합니다 |
묘제 | 5대조 부터(가정의례 준칙은 3대조)는 기제사를 모시지 않고 |
향사 | 묘소마다 찾아 묘제를 올려왔으나 몆일씩 제사를 모시기 어려운 현실이기에 |
서원이나 사당에서 지역의 유림이 주관하여 유교식으로 모시기도 합니다 |
상차리기(진설) 마련 |
병풍을 치고 병풍 앞에 상을 차리는데 위패(지방)를 놓은 곳을 북쪽으로 간주합니다 |
제사음식(제수) 마련 |
제수는 서울경기(기호학파)와 영남 및 호남이 다르고 가문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1열 (과일류 놓는 줄) | |
조율시이(棗栗枾梨)는 대추,밤,감,배의 순서로 놓고 나무과일(사과, 호두,바나나 등)을 놓고 | |
대추 | 꽃이 피면 반드시 열매가 달리니 자손이 번창을 기원하는 것입니다 |
밤 | 밤나무에 열매가 달릴때 까지 원뿌리에 씨앗인 밤이 썩지 않으니 조상과의 |
감 | 감씨를 심어도 접을 붙이지 않으면 돌감이 열리게 되니 교육의 중요성을 말함) |
배 | 껍질은 한민족의 피부색과 같은 황색은 우주의 중심을 뜻해 우리 민족의 긍지를 나타낸다. |
과일중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다는 미신이 있어 사용하지 않습니다 |
2열 포(말린고기) 와 채(나물) | |
생동숙서(生東熟西) 김치 등 생것은 동쪽에 나물 등 익힌 것은 서쪽에 놓습니다. | |
포 | 육포(쇠고기), 문어, 오징어 등의 말린고기와 생선포를 놓습니다 |
3색 나물 | 흰색나물은 뿌리를 사용하며 조상을 의미하며 도라지등을 사용하고 |
김치 | 백김치, 나박김치 등의 물김치를 사용하는데 실고추나 고추가루는 쓰지 않음 |
간장 | |
식혜 | 단술의 건더기만을 사용합니다 |
3열 탕(찌계류) | |
건더기만 놓는데 보통 3탕(3종류의 탕)을 준비하나 5탕을 하기도 합니다 . | |
육탕 | 쇠고기탕 |
채탕 | 나물이나 두부탕 |
어탕 | 생선탕 |
계탕 | 닭고기 |
4열 적(구이,산적)과 전(튀김) | |
육회(쇠고기)나 생선회를 놓을 경우 전과 적과 회를 합하여 홀수가 되게한다 | |
육적 | 쇠고기를 대꼬치에 꿰어 굽거나 소금이나 간장으로 양념하여 익혀서 사용함 |
어적 | 생선의 입과 꼬리를 잘라내고 칼집을 내어 소금 간장으로 양념해 익힘 |
계적 | 닭고기를 머리와 발을 잘라낸 다음 익힘 |
육전 | 쇠고기를 다져서 두부와 섞어 계란 노른자를 묻혀 기름에 부침 |
생선전 | 생선을 저며서 계란 노른자를 묻혀 기름에 부침 |
대어 | 큰 생선종류로(칼치 꽁치등 "치"가 붙은고기는 제외함) 머리와 꼬리를 자르지 않습니다 |
5열 밥(메) 국(갱) 떡(편) | |
메나 갱은 불교에서 유래된 말로 밥을 말합니다. | |
밥 | 밥그릇에 수북하게 담고 뚜껑을 덮는다, 설날은 떡국으로 대신 해도 됩니다 |
국 | 쇠고기와 무우로 끓이는데,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을 쓰지 않음. |
떡 | 팥 껍질을 벗긴 고물을 사용해 흰 빛깔이 되게 하고, 정사각형으로 담는다 |
제례 순서 |
집에 윗어른을 모셨을 때나 제사의 순서도 비슷합니다. |
1 | 신위봉안 | 제삿날은 몸은 청결하고 경건함 마음으로 행동은 가려서 합니다. |
2 | 강신례 |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하는 절차입니다. |
3 | 참신례 | 모든 참제자들이 인사하는 순서입니다. |
4 | 초헌례 | 집사는 고위(남자의 신위)잔을 내려서 초헌관에게 드립니다 |
5 | 독축 | 축관이 초헌관의 왼쪽에 꿇어 앉고 참사자도 모두꿇어 앉으며 |
6 | 아헌례 | 2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입니다. |
종헌례 | 마지막 잔올림입니다. | |
첨작례 | 추가로 술을 올리는 의식입니다 집사가 새 술잔에 따른 술을 초헌관에게 전하고 | |
7 | 삽시 | 밥(메)그릇의 뚜껑을 열고 숱가락은 들아간 부분이 동쪽을 향하게 꽂습니다. |
8 | 유식 | 편하게 식사를 드시라는 의식입니다. |
9 | 헌다 |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리고 숟가락으로 밥을 조금씩 3번 떠서 말아놓은 후 |
10 | 철시 | 숫가락과 젓가락을 거두어 모아두고 밥그릇 뚜껑을 차례로 덮습니다. |
11 | 사신례 | 전송하는 예절로 참석자 모두가 2번 절합니다. |
12 | 분축 | 축문과 지방을 불사른 재를 맑은 물에 저어서 깨끗한 곳에 버립니다 |
13 | 음복 | 조상이 주시는 복된 음식을 드는 의식입니다. |
절하는 법 |
제례의 절(묘사, 제사의 절) | |
남자는 재배(두 번 절함) 여자는 4배(4번 절함)를 합니다. | |
1 | 왼손을 위로하여 오른손을 잡아(공수) 공손한 자세로 대상을 향해 선다(공수) |
남자큰절(손윗 사람에게 하는 절) | |
1 | 왼손을 위로하여 오른손을 잡아(공수) 공손한 자세로 대상을 향해 선다(공수) |
남자 평절 | |
동료나 같은 연배간의 절입니다. | |
남자 반절 | |
아랫사람의 절에 대한 윗사람의 답례입니다. |
여자 큰절(손윗 사람에게 하는 절) | |
1 | 공수한 손을 어께 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한복의 겨드랑이가 보이지 않을 정도) |
여자 평절 | |
1 | 공수한 손으 풀어 양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린다 |
여자 반절 | |
아랫사람의 절에 대한 답배인 경우입니다. |
지방(紙榜) 과 위패 |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분을 한지 종이에 적은 글입니다. | |
용지와 | 폭 6 cm, 길이 22 cm 정도인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세로로 적습니다 |
주제자 | 아내의 경우 남편이 되며, 남편의 경우 아내가 됩니다 |
내용 |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뜻하고 비( 女比)는 돌아가신 어머니입니다 |
|
|
|
|
부모 |
| 조부모 |
| 증조 |
| 고조 |
| 남편 |
| 처 |
| 형 | 형수 |
| 제 |
| 자 | ||||||
顯考學生府君 | 顯妣孺人金海金氏 |
| 顯祖考學生府君 | 顯祖妣孺人金海金氏 |
| 顯曾祖考學生府君 | 顯曾祖妣孺人金海金氏 |
| 顯高祖考學生府君
| 顯高祖妣孺人金海金氏 |
| 顯壁學生府君 |
비 워
둡 니 다 |
|
비 워
둡 니 다 | 亡室妣孺人金海金氏 |
| 顯兄學生府君 | 顯兄妣孺人金海金氏 |
| 亡弟○ |
| 亡子○ |
神位 | 神位 |
| 神位 | 神位 |
| 神位 | 神位 |
|
'생활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정보] | KBS1 실시간 온에어 (0) | 2017.01.04 |
---|---|
[강의/강좌] | 무료 동영상 수학교실 (0) | 2017.01.04 |
[일반정보] | 남자 옷 잘입는 방법 (0) | 2017.01.04 |
[생활정보] | 수천편의 무료 애니메이션 보기 (0) | 2017.01.04 |
[생활정보] | 알아두면 좋은 통합조회시스템 (0) | 2017.01.04 |
[생활정보] | 서울버스번호체계 및 주민등록번호 숫자의 비밀 (0) | 2017.01.04 |
[생활정보] | 생활속 숫자의 비밀 프라스틱용기 숫자의 비밀 (0) | 2017.01.04 |
[생활정보] | 타이어 숫자정보 (0) | 2017.01.04 |
[생활정보] | 백색소음사이트 (0) | 2017.01.04 |
[생활] | 윤종신 코디의 쇼핑몰 정리 No2 (0) | 2017.01.04 |